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대의 아이콘 마릴린 먼로

by 파워뷰티 2025. 3. 30.
반응형

마를린 먼로는 20세기 할리우드를 상징하는 여배우이자 아이콘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그녀의 화려한 외면 뒤에는 고통스러운 유년기와 내면의 상처, 정신질환과 중독, 그리고 인정받고 싶었던 배우로서의 갈망이 있었다. 그녀의 짧고 비극적인 삶은 죽음 이후에도 여전히 전 세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마릴린 먼로

성장배경

마를린 먼로는 1926년, 본명 노마 진 모텐슨으로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글래디스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었고, 먼로는 태어난 지 2주 만에 위탁가정에 맡겨졌다. 그녀의 아버지가 누구인지도 모른 채 성장한 먼로는 어린 시절을 여러 위탁가정과 고아원에서 떠돌며 불안정한 환경 속에 자랐다. 어머니는 정신분열증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했고, 먼로는 결국 주립 보호시설에서 생활했다. 이 시기, 그녀는 성폭력을 당하는 등 상처 가득한 유년기를 보냈다.16세에 정치적인 결혼을 택해 제임스 도허티와 결혼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중 남편이 군 복무를 떠난 사이 먼로는 군수공장에서 낙하산 검사원으로 일하며 독립적인 삶을 시작했다. 그러던 중, 군수공장을 촬영하던 사진작가에게 발탁되어 모델 일을 시작하게 되었고, 이후 헐리우드 진출의 계기를 마련했다. 흥미로운 점은 당시 이 사진 촬영을 주선한 인물이 훗날 미국 대통령이 되는 로널드 레이건이라는 사실이다.1946년, 그녀는 20세기 폭스와 정식 계약을 맺고 배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마를린 먼로라는 예명을 사용하게 되었고,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만들어가려 했다. 하지만 성공을 위해선 자신의 배경과 고통을 철저히 숨겨야 했고, 수많은 오디션과 조연 경험 끝에 조금씩 이름을 알리게 된다. 그녀는 어릴 적부터 진짜 배우가 되길 바랐고, 단순한 미모만으로 평가받는 것을 두려워했다. 다정하면서도 외로웠던 어린 시절은 그녀의 인생 전반에 영향을 주었고,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사랑에 대한 갈망, 그리고 불안정한 감정을 증폭시켰다.

결혼과 죽음

먼로는 총 세 번 결혼했다. 첫 결혼은 제임스 도허티와 16세 때 맺은 것이었고, 배우로서의 길을 위해 이혼을 선택했다. 이후 야구 스타 조 디마지오와 결혼했지만 결혼 생활은 불과 8개월 만에 파탄났다. 디마지오는 먼로의 섹시한 대중 이미지에 불만을 품었고, 공연 중 사진을 찍히는 것을 못마땅해했다. 하지만 이혼 후에도 먼로가 정신병원에 입원했을 때 직접 그녀를 구해냈으며, 그녀의 사망 이후 장례를 주관하고 20년간 매주 꽃을 보내는 등 평생 그녀를 사랑했다.세 번째 결혼은 극작가 아서 밀러와의 관계였다. 이 결혼은 먼로가 문학적 지식과 진지한 연기를 추구하면서 이뤄졌지만, 밀러의 일기장에서 그녀에 대한 실망과 경멸의 글을 발견하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이후 먼로는 수면제에 의존하기 시작했고, 정신병원에 입원하며 심리적으로 더욱 불안정해졌다.이후에도 먼로는 여러 남성과 염문을 뿌렸다. 이브 몽탕, 토니 커티스, 그리고 케네디 형제와의 관계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특히 존 F. 케네디와는 짧고 뜨거운 관계였지만, 오해와 혼란 속에서 점점 멀어졌고, 그 과정에서 먼로는 점점 더 고립되었다. 그녀는 자신이 케네디의 아내가 될 것이라 착각하며 집착했지만, 끝내 버림받았다.1950년대 후반부터 먼로는 잦은 촬영 지각과 대사 실수, 자주 반복되는 NG로 제작진과 마찰을 빚었다. 그녀의 정신 상태는 날로 불안해졌고, 영화 촬영장에서의 무기력함은 심각한 수준이었다. 촬영 도중 대사를 잊거나 촬영을 중단시키는 일이 잦았으며, Somethings Got to Give에서 결국 해고당했다. 이 시기 그녀는 심한 불면증과 우울증, 그리고 약물중독에 시달리고 있었다.1962년 8월 5일, 마를린 먼로는 자택 침대에서 숨진 채 발견된다. 손에는 전화기가 들려 있었고, 곁에는 수면제 병이 놓여 있었다. 사망 원인은 약물 과다복용으로, 자살이 유력하지만 타살 가능성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그녀의 집에서는 FBI의 도청 장비가 발견되었고, 마피아와의 연루설도 불거지며,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그녀는 단지 36세였다.

사후 평가

먼로의 죽음은 단순한 배우의 죽음이 아니라, 헐리우드 시스템이 낳은 희생자의 죽음으로 평가된다. 그녀는 대중에게는 섹시한 스타로 기억되지만, 본인은 늘 진지한 배우로 인정받고 싶어했다. 그녀는 작가들의 책을 즐겨 읽었고, 400권이 넘는 도서를 소장했으며, 제임스 조이스, 윌트 휘트먼, 헤밍웨이 등의 작품을 탐독했다. 아름다움에 가려진 지적 이미지도 그녀의 또 다른 모습이었다.또한 먼로는 성희롱과 성차별이 만연한 당시 헐리우드 환경을 비판한 몇 안 되는 여성 스타였다. 1953년, 그녀는 부적절한 제안을 거절하고, 오디션을 빙자한 접촉을 폭로하는 등 성적 착취에 맞서 싸운 선구자였다. 그녀는 남성 중심의 캐스팅 시스템과 싸우며 자신만의 커리어를 개척했다. 이런 모습은 오늘날에도 여성 인권 운동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이유가 된다.사망 이후에도 먼로의 인기는 식지 않았다. 그녀의 무덤은 헐리우드 팬들의 순례지로 자리잡았고, 매년 수천 명의 팬들이 그녀를 추모하며 꽃과 키스를 남긴다. 심지어 그녀의 납골당 옆자리는 수백만 달러에 경매에 부쳐졌고, 플레이보이 창립자인 휴 헤프너는 먼로 옆 칸을 구입하여 그녀 옆에 묻혔다. 그녀의 묘비까지 경매에 나오며 문화 아이콘으로서의 영향력은 계속되고 있다.결국 마를린 먼로는 진정한 사랑과 안정된 가정을 찾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그녀가 남긴 발자취는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 속에서 고통을 안고 살았던 한 여인의 삶은, 아름다움이 전부가 아님을, 그리고 인정받기 위한 싸움이 얼마나 고통스러울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먼로는 단지 섹시 스타가 아닌, 시대를 초월한 여성의 상징이자 저항의 아이콘으로 기억될 것이다.

반응형